top of page

소비자 조사 견적, 이렇게 결정됩니다.

“소비자 조사를 진행하고 싶은데, 견적은 얼마 정도일까요?”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지만, 정답은 ‘조사 설계’에 있습니다. 비용은 숫자표가 아니라 목적·방법·대상·범위의 조합으로 결정됩니다.


  • 소비자 조사 견적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의 산물 : 목적 → 방법 → 대상 → 분석/리포트 범위
  • 핵심 5요소 : 조사 목적, 조사 방식(FGI·IDI·설문), 대상 조건/규모, 섭외·인센티브, 분석/리포트
  • 실전 팁 : “무엇을 결정하려는가?”부터 적으면 예산도 일정도 빨라집니다.


  1. 견적을 좌우하는 5가지 기준

조사 목적 (What/Fact? or Why/Insight?)

  • 인지도/만족도/선호도 같은 수치 확인 vs. 반응/이유/언어/맥락 같은 깊이 있는 탐색

조사 방식(Method)

  • 정량: 온라인 설문(패널/자체DB), 전화, 대면 등

  • 정성: FGI(집단면접), IDI(개별심층), UX테스트/관찰 조사 등

  • 필요에 따라 하이브리드(정성+정량) 권장

대상 조건 & 규모


  • 지역/연령/구매경험/사용빈도/직업군/프리미엄 유저 등

  • 표본 크기(n)와 스크리닝 난이도가 섭외/인센티브에 직결

응답자 섭외 및 인센티브

  • 패널 활용 vs. 자체 DB vs. 현장 리크루팅

  • 고난이도 타깃(의사/특정 B2B 등)일수록 단가↑


분석/리포트 범위


  • 원데이터 전달, 결과표/대시보드, 인사이트 리포트(시사점/권고안)까지 범위에 따라 차등


  • 정량조사와 정성조사 및 세부 사항을 체크해서 조사 방식과 대상조건 & 규모를 결정하세요.


    정성 vs. 정량 조사 선택 시 고려할 요소 (클릭하면 이미지가 확대됩니다.)
    정성 vs. 정량 조사 선택 시 고려할 요소 (클릭하면 이미지가 확대됩니다.)

     정량 vs 정성, 언제 무엇을 쓰나

    • 정량(설문형): “얼마나 높은가/많은가”를 통계로 검증

    • 정성(FGI/IDI): “왜 그렇게 느끼는가”를 언어와 맥락으로 해석

    • 추천 조합: 정성으로 가설을 만들고 → 정량으로 검증(또는 역순)


  • 자주 묻는 질문(FAQ)


    ➡️Q: FGI 1회(6~8명)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요? A. 용역범위/장소/타깃 난이도/리포트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, 대략 150만~400만 원/그룹당이 일반적입니다.


    ➡️Q. 참여자 인센티브는 어디까지 포함되나요? A. 일반적으로 모집/스크리닝/인센티브/노쇼 대비가 포함되며, 고난이도 타깃은 가산됩니다.


    ➡️Q. 일정(실사 기간)은 얼마나 걸리나요? A. 일반 타깃 정량 설문은 1~2주, FGI는 리크루팅 포함 2~3주가 보통입니다. (난이도에 따라 변동)


    ➡️Q. 결과물은 어떻게 받게 되나요? A. 원데이터/결과표/요약 리포트/발표자료 중 선택 가능합니다. 의사결정에 필요한 수준을 추천드립니다.

댓글


카테고리
최근 게시물
보관
태그 검색

© 2018 by MINDSEYE All rights reserved.  
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