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
정성조사(FGI_좌담회,IDI) 의뢰와 견적을 위한 Guide 1_목적과 아웃풋정의

  • 작성자 사진: Admin
    Admin
  • 10월 15일
  • 2분 분량

1️⃣ 조사 목적부터 명확히 하기


정성조사(FGI/좌담회)를 처음 진행하는 클라이언트가 가장 자주 묻는 질문은 바로 이것입니다.

“정성조사 (FGI나 좌담회나 인터뷰) 조사 진행하려면 비용이 얼마나 드나요?”

좌담회 진행 모습
© raddfilms, 출처 Unsplash

특히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풀 서비스(full service) 로 진행하기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, 모듈별 의뢰나 부분 의뢰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런데 정성조사 견적을 정확히 받으려면 반드시 먼저 정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. 바로 정성조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조사의 목적입니다.


📌조사 목적 설정 시 자주 하는 실수

  • “매출을 높이기 위해서”

  • “신제품 개발을 위해서”


이런 수준의 추상적인 목적은 조사 설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.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처럼 표현해야 합니다:

✅ “신규 고객 확보를 통해 매출을 높이기 위해서”

✅ “경쟁사 고객을 자사로 전환시켜 매출을 확대하기 위해서”

✅ “기존 제품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신제품 개발”

✅ “카테고리에서 가장 대중적인 포지셔닝을 가진 신제품 개발”


2️⃣조사 아웃풋(Output)의 수준과 형태를 먼저 정의하기


많은 의뢰자들이 조사 목적은 어느 정도 정리하지만,

결과물이 어떤 형태여야 하는지는 구체적으로 생각하지 못한 채 의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따라서 대행사가 질문해올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먼저 준비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
📌 “조사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예정인가요?”

📌 “보고서에서 어떤 수준의 인사이트나 데이터를 원하시나요?


📉정성조사(FGI/IDI)가 할 수 없는 것(수치화된 결과)

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결과(오른쪽과 같은 챠트)를 기대한다면 정성조사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

  • “우리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이 몇 %인지 알고 싶다”

  • “1위와 2위의 만족도 차이를 점수로 보고 싶다”

  • “평균 점수가 몇 점인지 알고 싶다”

이런 결과를 원한다면 반드시 정량조사(설문조사) 를 해야 하며, 적어도 6그룹 이상(40명 이상)을 모집해야 통계적 의미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정량조사 보고서 형태


🔍 정성조사가 줄 수 있는 것 (이유와 맥락)


정성조사는 수치를 제공하기보다, 소비자의 행동·감정·의사결정의 Why와 How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.
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형태가 정성조사 결과의 전형입니다.

  • “소비자들은 A제품을 ‘자극이 덜해서 아침용으로 좋다’고 표현함”

  • “B 브랜드는 ‘고급스럽지만 비싸서 선물용으로만 사용한다’는 의견 다수”

  • “구매 시점(TPO)은 주로 ○○상황에서 발생한다”

즉, 언급 빈도 + 구체적인 이유(TPO) 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전략 방향 설정, 컨셉 도출, 개선 포인트 도출 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정성조사 보고서 예시

실제 정성조사 보고서의 일부로 음영처리됨



3️⃣정성조사 의뢰하기 전 반드시 정리할 것


정성조사(FGI)를 기획·의뢰하기 전에 아래 항목을 정리해서 전달하면, 조사 설계부터 견적 산출까지 훨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✅ 조사 목적 설정: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설정

✅ 조사 대상: 누구에게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

✅ 기대 아웃풋(아웃풋 정의): 어떤 형태와 수준의 결과물을 원하는지

✅ 활용 계획(정성조사 활용): 조사 결과를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



“빙산의 아래를 보는 것”이 정성조사다


정성조사의 의미
Tip of the Iceberg - Photo: Pere on Flickr ( https://flic.kr/p/NdBBW)

겉으로 드러난 숫자나 표면적인 반응만 보는 것이 아니라,소비자의 내면 동기와 맥락(Why & How)을 탐색하는 것 ―이것이 정성조사의 진짜 가치입니다.

조사를 계획하고 있다면, 이번 글을 체크리스트처럼 활용해보세요.명확한 목적과 기대 수준을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비용·시간·효과 모두가 달라집니다.


댓글


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.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.
카테고리
최근 게시물
보관
태그 검색

© 2018 by MINDSEYE All rights reserved.  

bottom of page